데이터베이스시스템 Chap13

[ADV_db]Chap 2. 데이터 저장 장치 구조-2
# 레코드 저장 방법 Heap File Organization 빈 공간에 어디든 저장하는 방식 한번 할당받아서 저장된 레코드들은 움직이지 않는다. 중요한 문제는 Free Space를 효과적으로 찾는 방법 Free-Space Map 파일의 블록 중에 빈곳을 표시해주는 데이터 구조 만약 하나의 블록이 3bit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면, 각 블록을 8로 나누면 비어있는 곳이 얼마나 있는지 알 수 있다. Second-Level Free Space Map 각 엔트리가 First-level Space Map의 4개씩을 나타낸다면 그 중 최대값만을 이용하여 빈곳을 탐색하는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다. Sequential File Organization Search-Key를 기반으로 정렬하여 파일에 레코드를 저장한다...

[ADV_db]Chap 2. 데이터 저장 장치 구조
# 파일 구성 데이터베이스는 파일들로 이루어져 있고, 각 파일들을 여러 레코드들로 구성된다. 레코드는 여러 연속적인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. 이 때, 파일의 레코드의 사이즈는 고정되어 있고, 레코드는 디스크 블록보다 작다고 가정해보자. ERROR 1 그렇다면 이런식으로 파일이 이루어져있을 것이다. 이 때 각 레코드의 크기를 170kb라고 하고 블록의 크기를 512kb라고 하면,한 블록 단위로 저장할 때 2kB씩 "Cross Block Boundaries"즉 레코드의 일부분을 잘라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. 이런 경우 블록 사이즈를 모두 채우지 않고, 온전한 상태의 레코드들로 채운 후 진행해야 한다. ERROR 2 중간의 레코드가 삭제된 경우, 저 부분을 채우기 위해 뒤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한칸씩 이동한다면,..